전체 글(23)
-
ES6 문법 핵심 요약(1)
변수 var는 전역변수 let은 지역변수처럼 사용 let은 지역범위 내에서 재할당이 가능하다. 이벤트 함수 외부에 let을 사용하면 함수 내에서도 참조하여 사용 가능하다. const는 전역변수로 사용되지만 재할당은 불가능하다. const와 let 변수만을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const를 사용하더라도 배열과 객체의 값을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 concat 메소드는 값을 추가하여 배열을 복제할 수 있지만 새로운 배열을 선언해야만 한다. 문자열 문자객체.startsWith('문자열') - 문자열의 시작이 일치하는지 체크 문자객체.endsWith('문자열') - 문자열의 끝이 일치하는지 체크 문자객체.includes('문자열') - 문자열이 문자열 또는 배열에 포함되었는지 체크 배열 for in 방..
2022.06.05 -
OracleSQL 03 - SQL 기본 명령어
SELECT NVL(컬럼명, 변경할 값) : 지정한 컬럼이 null인 경우 지정한 변경 값으로 대체되어 출력 AS 별칭 : 특정 컬럼에 별칭을 부여(생략 가능), 대소문자 구분 시 큰따옴표("")를 사용 Concatenation(||) 연산자 : 여러 개의 컬럼을 연결하여 문장처럼 보여준다 (ex. 컬럼 || '연결문장' || 컬럼) DISTINCT 컬럼명 : 지정한 컬럼의 중복되는 값을 한 번씩만 출력 WHERE AND, OR, NOT 연산자 사용 NOT : , !=^= 로 표현 가능 컬럼 [NOT] BETWEEN 값 AND 값 [NOT] IN(컬럼명) : 지정한 컬럼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출력. NOT은 모두 해당되지 않을 때 [NOT] LIKE : 컬럼에 저장된 데이터의 일부만 일치하더라도 조회 가..
2022.05.30 -
[CS 핵심요약] 하드웨어(1) - 하드웨어 구성 요소
하드웨어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중앙처리장치 : CPU 기억 장치 : RAM, HDD 입출력 장치 : 마우스, 프린터 등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는 시스템 버스로 연결되어 있으며, 시스템 버스는 데이터와 명령 제어 신호를 각 장치로 실어나르는 역할을 한다.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읽고 처리한 뒤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Read - Process - Write 이 과정을 진행하면서 끊임없이 주기억장치(RAM)와 소통한다. 운영체제가 64bit이면 CPU는 RAM으로부터 데이터를 한번에 64bit씩 읽어온다. 중앙처리장치(CPU) 인간으로 따지면 두뇌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주기억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어와 처리하고 명령어의 수행 순서를 제어한다. 비교와 연산을 담당하는 산술논리연산장..
2022.05.24 -
Querydsl[Error] No sources given?!
Caused by: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No sources given Querydsl이 익숙치 않을때 개발을 하다보면 아주 가끔씩..? 볼 수 있는 에러이다. return queryFactory .select(new QPushHistoryResDto( pushHistory.historySeq, pushHistory.readYn )) .where(pushHistory.acSeq.eq(acSeq)) .orderBy(pushHistory.createdDate.desc()) .fetch(); 에러 원인을 잘 해석해보자.. 주어진 sources가 없다는 내용이다. 즉, Query문에 무언가 빠졌다는 내용이다. 잘 살펴보면 from절이 없다. from절을 추가해주면 된다..
2022.04.19 -
OracleSQL 02 - 데이터타입과 제약조건
데이터타입 CHAR(size) : size 크기의 고정 길이 문자 데이터 타입 (최대:2,000 최소:1바이트) VARCHAR2(size) : size 크기의 가변 길이 문자 데이터 타입(최대:4,000 최소:1바이트) NVARCHAR2(size) : 국가별 문자 집합에 따른 size 크기의 문자 또는 바이트의 가변 길이 문자 데이터 타입(최대:4,000 최소:1바이트) NUMBER(p,s) : 정밀도(총자리수)와 스케일(소수점)로 표현되는 숫자 데이터 타입(p:1~38, s:-84~127) DATE : 날짜 형식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기본:YY/MM/DD) ROWID : 테이블 내 행의 고유 주소를 가지는 64진수 문자 타입 BLOB : 대용량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타입(최대..
2022.03.20 -
Java 08 - 컬렉션 프레임워크 2
LinkedList 배열과 달리 불연속적으로 존재하는 데이터를 연결한다. dooubly linked list, doubly circular linked list : 데이터 접근성을 향상시킨 구조 순차적인 데이터 추가/삭제는 ArrayList가 빠르지만 비순차적은 LinkedList가 빠르다. 접근시간이 ArrayList에 비해 느리고 데이터가 많을수록 접근성이 떨어진다. 스택과 큐 스택 : LIFO구조. 마지막에 저장된 것을 제일 먼저 꺼낸다. 큐 : FIFO구조. 제일 먼저 저장한 것을 제일 먼저 꺼낸다. 덱 : 스택과 큐의 결합. 양끝에서 저장과 삭제가 가능하다. Enumeration, Iterator, ListIterator Enumeration은 Iterator의 구버전이다. 컬렉션에 저장된 데이..
2022.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