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언어(12)
-
ES6 문법 핵심 요약(1)
변수 var는 전역변수 let은 지역변수처럼 사용 let은 지역범위 내에서 재할당이 가능하다. 이벤트 함수 외부에 let을 사용하면 함수 내에서도 참조하여 사용 가능하다. const는 전역변수로 사용되지만 재할당은 불가능하다. const와 let 변수만을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const를 사용하더라도 배열과 객체의 값을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 concat 메소드는 값을 추가하여 배열을 복제할 수 있지만 새로운 배열을 선언해야만 한다. 문자열 문자객체.startsWith('문자열') - 문자열의 시작이 일치하는지 체크 문자객체.endsWith('문자열') - 문자열의 끝이 일치하는지 체크 문자객체.includes('문자열') - 문자열이 문자열 또는 배열에 포함되었는지 체크 배열 for in 방..
2022.06.05 -
Java 08 - 컬렉션 프레임워크 2
LinkedList 배열과 달리 불연속적으로 존재하는 데이터를 연결한다. dooubly linked list, doubly circular linked list : 데이터 접근성을 향상시킨 구조 순차적인 데이터 추가/삭제는 ArrayList가 빠르지만 비순차적은 LinkedList가 빠르다. 접근시간이 ArrayList에 비해 느리고 데이터가 많을수록 접근성이 떨어진다. 스택과 큐 스택 : LIFO구조. 마지막에 저장된 것을 제일 먼저 꺼낸다. 큐 : FIFO구조. 제일 먼저 저장한 것을 제일 먼저 꺼낸다. 덱 : 스택과 큐의 결합. 양끝에서 저장과 삭제가 가능하다. Enumeration, Iterator, ListIterator Enumeration은 Iterator의 구버전이다. 컬렉션에 저장된 데이..
2022.03.20 -
Java 08 - 컬렉션 프레임워크 1
컬렉션 프레임워크 Collection(컬렉션)은 여러 객체 및 데이터들을 모아 놓은 것을 의미한다. Framework(프레임워크)는 컬렉션을 다루기 위한 표준화된 프로그래밍 방식이다. 즉,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는 객체의 집합을 다루기 위한 표준화된 프로그래밍 방식을 의미한다. Collection을 편리하게 다루기 위한 다양한 클래스(java.util 패키지)를 제공하며 다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Vector, ArrayList, HashSet 등의 클래스를 제공한다. 핵심 인터페이스 List :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한다. (ArrayList, LinkedList, Stack, Vector 등) Set -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데이터의 ..
2021.07.23 -
Java 07 - java.lang 패키지
java.lang 패키지 클래스 Object 클래스 모든 클래스의 최고 조상이다. 11개의 핵심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 notify(), wait()등은 쓰레드와 관련된 메서드 equals() - 객체 자신과 주어진 객체를 비교(같으면true 다르면false) hashCode() - 객체의 해시코드를 반환하는 메서드이다. 다량의 데이터를 저장, 검색하는 해싱기법에 사용 toString() - 객체의 정보를 문자열로 제공할 목적으로 정의된 메서드 clone() - 객체 자신을 복제해서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메서드 getClass() - 자신이 속한 클래스의 Class객체를 반환하는 메서드 String 클래스 문자형 배열과 그에 관련된 메서드들이 정의되어 있다. Stirng 인스턴스의 내용은 바꿀 수 없다..
2021.07.15 -
Java 06 - 객체지향개념 2
객체지향의 중요한 개념 2 상속 기존 클래스를 재사용해서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하는 것이다. 조상과 자손의 관계를 맺어주는 것이다. 자손은 조상의 모든 멤버를 상속받는다. 단일 상속만을 허용한다. 조상이 없는 클래스는 자동으로 Object 클래스를 상속받는다. 오버라이딩 조상클래스의 메서드를 상속받은 클래스에서 재사용 하는 것이다. 선언부(이름, 매개변수, 리턴타입)가 같아야 한다. 조상보다 좁은 범위의 접근 제어자를 사용할 수 없다. 조상의 메서드보다 많은 수의 예외를 선언할 수 없다. super, this를 사용하여 조상의 멤버와 자손의 멤버를 구별한다. 제어자 클래스, 변수, 메서드 선언부에 사용되어 부가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접근제어자: public, protected, default, privat..
2021.06.28 -
Java 05 - 객체지향개념 1
객체지향의 중요한 개념1 객체지향언어의 특징 코드 간의 관계를 맺어줌으로써 적은 노력으로 코드 변경이 가능하다.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진다. 제어자와 메서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보호한다. 코드의 중복을 제거하여 오류를 방지한다. 클래스와 객체 클래스란 객체를 정의해 놓은 것이다. (ex 제품 설계도)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한다. 객체란 실재로 존재하는 사물 또는 개념 (ex 제품) 객체는 속성과 기능에 따라 용도가 다르다. 객체는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일반적 의미이다. 객체는 속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다. (ex 속성: 길이/높이 , 기능:켜기/끄기) 속성은 변수로, 기능은 메서드로 정의한다. 인스턴스(Instance) 클래스로 부터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을 '인스턴스화' 라고 한다. 인스턴스 ..
2021.06.22